최근 인공지능(AI) 기반 단속 카메라가 확대되면서 신호위반 적발률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운전 중 한순간의 부주의가 금전적 손실과 더불어 면허 정지 위험까지 이어질 수 있는 만큼, 2025년 최신 신호위반 기준을 정확히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호위반의 기준과 강화된 단속 유형
신호위반은 교통 신호등의 적색 신호가 켜진 후, 차량이 교차로의 정지선을 넘어 진입하는 행위를 명확히 합니다. 최근에는 황색 신호에 무리하게 교차로에 진입하거나 꼬리물기로 차량 흐름을 방해하는 행위까지 단속 대상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어린이보호구역에서는 단속 기준과 처벌 강도가 일반 도로보다 훨씬 높게 적용됩니다.
2025년 차종별 과태료 및 벌점 기준
신호위반에 따른 과태료 금액은 차종과 위반 상황에 따라 다르게 부과되며,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벌점이 없는 과태료 또는 벌점이 부여되는 범칙금으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차종 | 일반 구간 과태료 (벌점 X) | 일반 구간 범칙금 (벌점 15점) | 어린이보호구역 과태료 (벌점 30점) |
승용차 | 7만 원 | 6만 원 | 13만 원 |
승합차 | 8만 원 | 7만 원 | 14만 원 |
-
과태료 납부는 벌점이 부과되지 않아 운전 기록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금액이 범칙금보다 높습니다.
-
범칙금 납부는 금액이 낮지만, 벌점(일반 15점, 스쿨존 30점)이 부과되어 면허 관리에 주의해야 합니다.
벌점 누적 관리 및 면허 정지 기준
신호위반으로 부과된 벌점은 1년간 누적 관리됩니다.
-
면허정지 기준: 누적 벌점이 40점을 초과할 경우, 벌점 1점당 1일씩 면허정지 처분(최소 40일)이 내려집니다. (예: 스쿨존 신호위반 1회 시 벌점 30점으로 정지 기준에 근접)
-
벌점 소멸: 벌점은 위반일로부터 1년이 지나면 자동 소멸됩니다.
신호위반 단속 내역 조회 및 납부 방법
-
조회 방법: 경찰청 교통민원24(이파인) 홈페이지 또는 앱에 접속하여 본인 인증 후 '미납내역조회' 메뉴에서 단속 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납부 기간: 보통 단속 후 10~15일 내에 고지서가 발송되며, 통지일로부터 20일 이내에 납부해야 합니다. 기한 내 납부 시 3% 감경 혜택이 제공됩니다.
-
이의신청: 단속 당시의 사진과 영상 자료를 이파인에서 직접 확인하고, 억울한 사유가 있다면 관할 경찰서에 이의신청을 통해 구제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미리 알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기적으로 이파인을 통해 미납 과태료와 누적 벌점을 확인하고, 안전 운전 습관을 유지하여 불필요한 위험을 피하세요.